Sunday, July 23, 2023

A River Runs Through It (film) - Wikipedia

A River Runs Through It (film) - Wikipedia

A River Runs Through It (fil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 River Runs Through It
Theatrical release poster
Directed byRobert Redford
Screenplay byRichard Friedenberg
Based onA River Runs Through It
by Norman Maclean
Produced by
Starring
CinematographyPhilippe Rousselot
Edited by
Music byMark Isham
Distributed byColumbia Pictures
Release date
  • October 9, 1992
Running time
123 minutes
CountryUnited States
LanguageEnglish
Budget$12 million[1]
Box office$66 million

A River Runs Through It is a 1992 American drama film directed by Robert Redford and starring Craig ShefferBrad PittTom SkerrittBrenda Blethyn, and Emily Lloyd. It is based on the 1976 semi-autobiographical novella A River Runs Through It by Norman Maclean, adapted for the screen by Richard Friedenberg. Set in and around Missoula, Montana, the story follows two sons of a Presbyterian minister, one studious and the other rebellious, as they grow up and come of age in the Rocky Mountain region during a span of time from roughly World War I to the early days of the Great Depression, including part of the Prohibition era.[2]

The film won the Academy Award for Best Cinematography and was also nominated for Best Music, Original Score and Best Adapted Screenplay. The film grossed over $66 million and received positive reviews from critics.

Plot[edit]

The Maclean brothers, Norman and Paul, grow up in Missoula, Montana, with their mother, Clara, and their father, Rev. John Maclean, a Presbyterian minister, from whom they learn a love of fly fishing for trout in the Blackfoot River. Norman and Paul are home-schooled under the strict moral and academic code of their father. Norman leaves to attend college at Dartmouth. When he returns six years later during the Prohibition era and the Jazz Age, he finds that Paul has become a highly skilled fisherman and a hard-drinking, fearless investigative journalist working for a newspaper in Helena.

Norman attends a Fourth of July dance and meets Jessie Burns, a flapper whose father runs the general store in Wolf Creek. Immediately smitten, Norman calls her the next morning and sets up a double date. Norman and Jessie go on their first date at the Hot Springs speakeasy. Paul arrives with his date, a similarly hard-drinking Cheyenne woman named Mabel, who is treated as an inferior by the local white crowd.

Soon after, Norman is called to bail Paul out of jail after Paul is arrested for hitting a man who insulted Mabel. The desk sergeant tells Norman that Paul has angered local criminals by falling behind in his debts from a big poker game at the Lolo speakeasy. Norman offers to give Paul money, but Paul brushes him off.

After Norman and Jessie go on several dates, she asks him to help her alcoholic brother Neal, who is visiting from Southern California. Norman and Paul dislike Neal, but at Jessie's insistence they invite him to go fly fishing. Neal shows up drunk with Rawhide, a prostitute whom he met the night before. Norman and Paul get separated from Neal but fish anyway and return to their car hours later to find that Neal and Rawhide have drunk all the beer, had sex, and passed out naked.

Norman drives an intoxicated Neal home, where Jessie is enraged that the brothers left Neal alone with the beer instead of fishing with him. Norman tells her that he is falling in love with her. Jessie drives away angry but a week later asks Norman to come to the train station to see Neal off. After the train departs, Jessie laments her failure to save Neal from his alcoholism and asks why the people who need help the most will not accept it. Norman shows Jessie a letter from the University of Chicago offering him a faculty position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iterature. He tells Jessie that he does not wish to leave Montana and when it becomes clear that it is because of her, she embraces him.

That night, a drunken Norman meets up with Paul and announces his love for Jessie. Paul says they should celebrate but instead takes Norman to the Lolo speakeasy. Paul tries to get in on the poker game in the backroom, but the dealer will not let him play because he already owes so much. Paul tells Norman that he isn't leaving since he is feeling lucky and that he will convince the others to let him play. Norman reluctantly drives off after Paul asks him to go fishing the next day.

Blackfoot River

Norman is relieved when Paul arrives the following morning, as he feared for his brother's life. Norman tells his family that he is going to accept the job in Chicago. Norman, Paul, and their father go fly fishing one last time. Norman urges his brother to come with him and Jessie to Chicago, but Paul says he will never leave Montana. He hooks a huge rainbow trout that drags him down the river rapids before he lands it. Their father tells Paul that he has become a wonderful fisherman and an artist in the craft, much to Paul's delight.

Just before Norman is to leave for Chicago, police inform him that Paul was beaten to death. Norman breaks the news to his parents. Years later, Mrs. Maclean, Norman, Jessie, and their two children listen to a sermon given by Rev. Maclean soon before his own death. Rev. Maclean preaches about being unable to help loved ones who are destroying themselves and will not accept help. All that those who truly care for such a self-destructive person can do, Rev. Maclean concludes, is to give unconditional love, even without understanding why.

The closing scene shows an elderly Norman Maclean fishing on the same river as director Robert Redford narrates the final lines from his original novella.

Cast[edit]

In addition, Joseph Gordon-Levitt and Van Gravage portray the childhood versions of Norman and Paul, respectively, while director Robert Redford provides the uncredited narration, in the first person voice of a senior Norman.

Production[edit]

Filming[edit]

The Redeemer Lutheran Church in Livingston, Montana, used for the Presbyterian church scenes.

Although both the book and movie are set in Missoula and on the Blackfoot River, it was filmed in late June to early July 1991 in south central Montana in Livingston and Bozeman,[2] and on the nearby upper YellowstoneGallatin, and Boulder Rivers. The waterfall shown is Granite Falls, in the mountains 18 miles (29 km) southwest of Jackson, Wyoming.[3][4] Filming was completed in early September 1991.

An article published in the Helena Independent Record in July 2000, based on recollections of people who knew both brothers, noted a number of specifics about the Macleans — notably various chronological and educational details about Paul Maclean's adult life — that differ somewhat from their portrayal in the film and novella.[5]

Music[edit]

Mark Isham, who would go on to compose the scores to most Robert Redford-directed films, composed the musical score for the film. Originally, Elmer Bernstein was hired to score the film. However, after Redford and Bernstein disagreed over the tone of the music, Bernstein was replaced by Isham.[6] Rushed for time, Isham completed the score within four weeks at Schnee Studio of Signet Sound Studios in Hollywood, CA. Upon release, the music was met with positive reviews earning the film nominations for both Grammy and Academy awards. The A River Runs Through It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was released on October 27, 1992.[7]

Release[edit]

It premiered at Bozeman, Montana, with a theatrical release on October 9 in the United States.[8]

Home media[edit]

A River Runs Through It was originally released on VHS on May 19, 1993. It was released on DVD in 1999 and a deluxe DVD edition in 2005 in similar packaging style as Legends Of The Fall, which also received a deluxe edition dvd release that year.[9] It was reissued on Blu-ray in July 2009 by Sony Pictures with six extra features including 17 deleted scenes and a documentary titled Deep Currents: Making 'A River Runs Through It' with interview segments of the cast and crew.[10]

Reception[edit]

Box office[edit]

Released on October 9, 1992, the film grossed $43,440,294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11] In 1993, it grossed $22.9 million for a worldwide total of over $66 million.[12]

Critical response[edit]

On Rotten Tomatoes the film holds an approval rating of 80% based on 45 reviews, with an average rating of 6.79/10. The site's critics consensus reads: "Tasteful to a fault, this period drama combines a talented cast (including a young Brad Pitt) with some stately, beautifully filmed work from director Robert Redford."[13] On Metacritic, the film has a weighted average score of 68 out of 100, based on 21 critics, indicating "generally favorable reviews".[14] Audiences polled by CinemaScore gave the film an average grade of "A−" on an A+ to F scale.[15]

Roger Ebert of The Chicago Sun-Times gave the film 3.5 out of 4 stars. He wrote “Redford and his writer, Richard Friedenberg, understand that most of the events in any life are accidential or arbitrary, especially the crucial ones, and we can exercise little conscious control over our destinies.”[16]

Much of the praise focused on Pitt's portrayal of Paul, which has been cited as his career-making performance.[17] Despite the critical reception, Pitt was very critical of his performance on the film: "Robert Redford made a quality movie. But I don't think I was skilled enough. I think I could have done better. Maybe it was the pressure of the part, and playing someone who was a real person — and the family was around occasionally — and not wanting to let Redford down."[18]

Friday, July 21, 2023

Sandra Oh talks about Bong Joon Ho and internalized racism | Sharon Choi...



Sandra Oh talks about Bong Joon Ho and internalized racism | Sharon Choi x Watcha

WATCHA
231K subscribers

Subscribe

22K
==
896K views  3 years ago
Killing Eve star Sandra Oh and Parasite director Bong Joon Ho’s Interpreter Sharon Choi met virtually over Zoom! | Hosted by Watcha.

Sandra Oh opens up about internalized racism and Bong Joon Ho calling out the Oscars as “very local” in an interview with Sharon …
1,589 Comments
Sejin Lifeforce 生命

@anonymity7336
2 years ago
@2:45 산드라 오씨가 “봉감독님은 인종차별적 사회에서 자란 분이 아니에요”라고 하자 전하고자 하려는 의도를 정확히 파악해서 “봉감독님은 소수인종이었던 적이 없다”라고 정확하게 정정해주는 샤론 최씨 소름... 그치 대한민국이 인종차별적 사회가 아니라고 하긴 힘들지...

239


Reply


1 reply
@JJ-kp4kz
@JJ-kp4kz
2 years ago
난 산드라가 '봉감독님이 인종차별적인 사회에서 자라지 않았죠'라고 했을때 샤론이 '그는 소수인종인 적 없죠'라고 다시 말해준 거 너무 좋음 ㅜㅜ

482


Reply


1 reply
@JJangByung
@JJangByung
3 years ago
구조적 차별을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겪어온 사람들과 집단을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이해하는게 쉬운 일이 아니란 것을 알게해주는 영상. 그걸 깨보려는 시도를 여기서 함부로 이렇다 저렇다 재단하지 말고 묵묵히 지켜보고 응원해줬으면 싶다.

689


Reply


11 replies
@admiralyisun-sin8185
@admiralyisun-sin8185
3 years ago
That is such a good point Sandy brings up. Usually minorities always talk about overcoming their racial struggles and how they are fortunate to be receiving whatever the award etc...But see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BJH accepting his award from a non minority upbringing and striding his steps with confidence and swag that every person should be defaulted with is unprecedented in Western pop culture. Were so conditioned to one narrative that perspective just flew over me as well.

831


Reply


43 replies
@hemispheren350
@hemispheren350
3 years ago
진짜 오스카는 로컬축제라고 선빵 날린건 신의 한수였음.
그 전과 후로 대우가 분명히 달라졌을것임.

2.7K


Reply


114 replies
@user-us4vx2bp8r
@user-us4vx2bp8r
3 years ago
ㅜㅜ먹먹하다.. 차별받아본적 없는 사람의 자유로움과 당당함을 느끼셨다니.. 와.. 당연한건데ㅜ 인종차별같은 이런 사회적 억압들이 얼마나 불평등을 만드는지 모르겠다 말,행동,인식 등 너무 많은 영향을 끼치겠지

1.6K


Reply


10 replies
@cloudsky1967
@cloudsky1967
3 years ago
그러게요. 알게모르게 내면에 스며들게 만드는게 참 무섭네요.

69


Reply

@yygvdjj6558
@yygvdjj6558
3 years ago
글쎄 산드라 오가 한국에서 자랐어도 엄청난 차별 속에 컸을텐데 6여남차별9 속에서 자라서 그저 조연만 하다 연기 인생 끝남 한국에서 산드라 오 같은 외모의 로맨스물 여주인공 봤냐? 왤까?? 류준열도 로맨스 남주가 되는 게 한국인데

20


Reply

@user-os1zq1rf5t
@user-os1zq1rf5t
3 years ago
ljkbiudo a 아무렇지않게 외모평가질 하는거 개역겹네 ㅋㅋ

54


Reply

@user-cv4bn9rh9g
@user-cv4bn9rh9g
3 years ago
@ljkbiudo a 갑자기 산드라 오님과 류준열님 외모비하를 하시네요. 이러한 외모비하가 인종차별과 뭐가 다른가요? 그리고 산드라 오 님과 류준열님은 외모가 항국에서 추구하는 미녀 미남 상과 멀다고 해도 충분히 매력적인 얼굴이고 연기력이 뛰어나시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활발히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뭐 로맨스 여주를 못했을 거다 하시는 데 오히려 배우의 스펙트럼을 좁히시네요.여자 배우로서 성공의 증거가 로맨스 여주인가요? 그리고 또한 류준열 얼굴도 로맨스 주인공 하는 데 라고 말씀하시는 데 그러한 시선들이 오히려 배우를 연기실력이 아닌 외모를 중시하는 산드라 오님이 왜 한국에서 로맨스 여주를 못하게 하는 이유가 되죠. 그리고 솔직히 류준열 배우님 팬이 남자분들이 많으실까요 여자분들이 많으실까요? 총구를 왜 여자분들한테 두시고 말씀하시나요?
페미니스트, 남녀평등이 남자에겐 함부로 말해도 되고 여자끼리는 연대해야 한다가 아닙니다. 인터넷 상에서 본인이 남자를 공격하는 말을 대충 페미니스트가 사용하는 단어들을 곁들여 말하면 좋아요가 눌리고 공감의 말이 쏟아지니 뭐라도 된 거 같으시겠죠.
현실을 보시고 남 앞에서 못할 소리 인터넷 상에서 하지 마세요.

48


Reply

@user-ex9id4jm2v
@user-ex9id4jm2v
2 years ago
 @yygvdjj6558  류준열 잘생겼는데 뭐래

5


Reply

@youngk953
@youngk953
1 year ago
정확하네요



Reply

@ILOVEKOREA_HCW
@ILOVEKOREA_HCW
1 year ago
 @yygvdjj6558  또 은근히 남녀로 갈라치는 모습이 역겹네요.

2


Reply

@user-yp7uv8fs7p
@user-yp7uv8fs7p
4 months ago
은근히 남녀차별이 아니지 기생충때 조여정보다 최우식이 출연료 더 많이받았음ㅋㅋㅋㅋ 그게 차별이 아니면 뭘까

4


Reply

@user-dj7ov4pm5f
@user-dj7ov4pm5f
3 years ago
The idea that he has never been a part of the minority is a really powerful statement.
I think that is why I felt so comfortable in Korea after returning there after living 15 years+ in America (even though I called Seattle my hometown). 15 years! It was an instant feeling of belonging seeing people who look like me and talk like me (even though I'm more comfortable with English than Korean lol). That freeing feeling is really important

316


Reply


9 replies
@beydark
@beydark
2 years ago
Percival Hans ethnically european people do have their own countries and cultures to go back to and have that feeling of belonging and that’s in eastern europe

5


Reply

@nii333
@nii333
2 years ago
Percival Hans what "feeling" do you desire to have in your country? if you only want a country where the majority population is white, you have plenty to choose from. i myself come from a country in central europe whose grand majority of the population is white. but the question is - why do you desire this? what bothers you so much about the presence of people of color? i will answer this for you: you are racist. does my comment offend you? that proves my point. if you don't want to be called racist, stop saying racist things. (oh and btw, as someone from europe: there is no such thing as "ethnically european." europe is home to many different ethnical groups, some have their own countries and some don't.)

17


Reply

@anonymous-hp4ks
@anonymous-hp4ks
2 years ago
Percival Hans poc: talking about their struggles

white person: what about white people????!!!

18


Reply

@rickardkaufman3988
@rickardkaufman3988
2 years ago
 @aashidhaniya  Don't forget the British Empire excuse Apartheid in India despite making slavery a crime. Oh, the irony and defended Apartheid in South Africa until the 1990s.



Reply

@ashonline77
@ashonline77
2 years ago (edited)
Percival Hans i don't think the British stealing from india gives indians any right to take over Britain now. However if you think that it's a lie that they stole anything, i suggest you do some research. it's actually a common lie said in britain that the colonization wasn't of any major benefit to britain. There's a research by the renowned economist Utsa Patnaik which was published by Columbia University Press. "Drawing on nearly two centuries of detailed data on tax and trade, Patnaik calculated that Britain drained a total of nearly $45 trillion from India during the period 1765 to 1938." i suggest you read a full article or the research itself.  i'll link an article here as well, read up https://www.aljazeera.com/indepth/opinion/britain-stole-45-trillion-india-181206124830851.html#:~:text=And%20lied%20about%20it.&text=There%20is%20a%20story%20that,was%20a%20cost%20to%20Britain.

4


Reply

@ashonline77
@ashonline77
2 years ago
Percival Hans  yes i agree on that one thing. however that doesn't mean i agree with your sentiment that poc moving to the UK will somehow take things away from the white people of the country. noone is moving to the UK with the idea of colonization. if you believe that the colonization in India didn't take away things , then isn't it a bit hypocritical to say that a poc moving to UK is gonna take away from the white people of the white country. ignoring the fact that poc aren't coming to UK to colonize it or anything of the sort but rather live their own lives. I lived in England, my best friends are English, my gf is English and i'm a poc. So i say this as respectfully as i can, i really don't care if a minority of white people think i'm invading their land and taking something away from them when i'm just minding my own business and living my life.

4


Reply

@enlightenlife2840
@enlightenlife2840
2 years ago
Percival Hans Europeans have the right to their lands but what i find fascinating is how they dislike foreigners even if they are citizens. These POC will mostly become European atleast by the 2nd generation and would probably mix. You're scared of people who appear different to you even though if you know them well you probably have alot in common.



Reply

@user-lt3lg2hb4b
@user-lt3lg2hb4b
3 years ago
산드라 오 매력 쩐다.... 인종차별이 어떤건지 조금은 알거같다... 사람의 뇌를 침투하는... 자기검열과 유리벽... 진짜 그 상황에 처해있지 않으면 절대 알수 없는... 산드라오 멋지다!!!

241


Reply

@user-wg8yy8jq9c
@user-wg8yy8jq9c
3 years ago
이렇게 영양가 있고 교양과 더불어 인상적인 인터뷰는 진짜 처음이다.. 미쳐따.

더해서 한국 인터뷰라 산드라오가 더 신경써줘서
 뒤에 대나무나 꽃? ㅠㅠ 뭔가 더 신경써서 인텁 한 느낌??ㅠㅠ

965


Reply


3 replies
@user-zt2rf5ti7e
@user-zt2rf5ti7e
3 years ago
두분의 인터뷰 내용이 지금껏 본 드라마&영화 인터뷰 중에 가장 묵직했고 내게 깨달음을 줌... 5개의 인터뷰 전부가 내게 생각할 거리들을 만들어줌으로써 나를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만들어준다고나 할까. 덕분에 산드라 오 님과 샤론 최 님의 신중하고 진중한 모습이 더 어필되었다는 느낌. 나도 샤론 님처럼 킬링 이브를 보기 위해 왓챠에 가입할 것 같음.

277


Reply

@hi-1337
@hi-1337
3 years ago
산드라오 샤론  두여성 다 너무 멋지고 감동적인 존재들이네요
근래 본 인터뷰 중 최고입니다
몇번을 반복해 보는지 모르겠네요 ^^ 이런 영상 너무 좋습니다 계속해서 이런 이벤트 만들어주세요 왓챠!!!

358


Reply

@wincup
@wincup
3 years ago
산드라 오가 말하신 저 이야기 진짜 맞음. 예를 들어 미국에서 나고 자란 2세와 유학생으로 건너간 사람들의 마인드와 태도는 (영어수준따위의 이야기가 아니라)  완전히 다릅니다- 항상 소수민족으로 나고 살아온 Asian과 내 주권국가에서 주인으로 정체성을 가지고 살던 아시안이 잠시 남의 나라에 왔다는 느낌은 다를 수 밖에 없죠. 이걸 많은 2세들이 최초로 느껴보게 해준 경험일지도 모르겠습니다.

702


Reply

@jamesbarth4005
@jamesbarth4005
2 years ago
I'm an adopted korean man in Canada, when Sandra explained her point on this I felt like she pretty much read my mind. Being raised a minority shaped your personality much differently than feeling equal to everyone else in society. And I've even got treated better than my friends from India, they have gotten way worse treatment.

123


Reply


3 replies
@jamesbarth4005
@jamesbarth4005
2 years ago
Percival Hans why would Koreans have to be a majority in order to not have racism?

11


Reply

@jamesbarth4005
@jamesbarth4005
2 years ago
Percival Hans I appreciate your perspective... but I don't wish for Koreans to be majority in Canada, or anywhere else except Korea. Racism is what caused this feeling of not being equal. What I would like is for racism to not be an issue today, but look at the current news, we are so far away from that right now in the world.

10


Reply

@captain0310
@captain0310
3 years ago
Wow that was powerful! A Korean man, an Asian man, a person who doesn't feel any less of himself, has not been at disadvantage, not been raised in a society, not part of the minority... HE IS JUST FREE.

884


Reply


5 replies
@samoh6084
@samoh6084
3 years ago
I compeletely get what sandra oh was saying about "an asian man who hasnt experienced any systematic racism that could have made him feel any less of himself". Bong was able to radiate that on the stage yes because he hadnt been raised in a culture, a society where asian men are often viewed as whatever but because he was in my opinion able to carry I guess what you could say "swag" because of his deep realization on the power of his identity in being korean. Not any asian man of any asian ethnicity could have had that much "I don't care" vibe. I say this because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stem from a certain culture is significant. One thing I don't agree with Sandra and Sharon is that Bong, to me, appears to be aware of racism and where he is positioned in the racial hierarchy, but I personally just think that he clearly knows where to draw the line and be himself. I think he just knows how to block the noise and focus om his work. Now to all my asian men out there. That is how you get to where you want to be. Stop listening to the society that keeps telling you shit. Society says shit but it doesn't actualy care.

117


Reply

@Fartsquad_
@Fartsquad_
3 years ago
Sam Oh yes i can tell a clear difference with Millennial Korean men that were raised in a western country and millennial Korean men that were raised in Korea. Native Korean men seem a lot more confident, having been raised in a quickly developing first world country and as part of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I think gen Z Korean American guys are growing up just as confident tho, especially with all the exposure America now has to Korean entertainment and more Asian faces appearing in Hollywood.

39


Reply

@Dudewithhair4500
@Dudewithhair4500
3 years ago
 @Fartsquad_  definitely 전 millineial korean-american 남자예요. I noticed a lot of korean guys in america aren't as confident but for gen z there is a big change due to gen z becoming more open-minded and also thanks to BTS/Korean media

15


Reply

@jamesnoh1999
@jamesnoh1999
2 years ago (edited)
 @samoh6084  You said it very well.  Director Bong knows that line and how to maneuver around that line.  The fact that he paid a heart felt tribute to Martin was a shrewd move that actually elevated himself.  Even though I was discriminated often after I emigrated to USA, I never felt lesser or pressure to fit in, partly because I had a certain type of personality when I was in Korea.  I don't think Director Bong projected confidence on that stage because he was raised in Korea.  He was confident because he knows himself that he is one of top directors in the world and believes in his own vision, and he happens to be one of rare Korean males who treats everyone with respect but also knows his own strengths.  But the point I wanted to make is in my opinion Director Bong is a rarity even in Korea.  But let's be honest here.  Korean films and dramas have come up so far, so fast; but he would not have been that confident if this wasn't the case.

10


Reply

@novadieu7820
@novadieu7820
2 years ago
and this is exactly how it should be! as a korean american myself, i see how awakening it is for sandra to realize that bc of this layer of internalized racism that has always clouded our judgement, the way we see the world, since the moment we were born. we held ourselves back, covered the tracks and traces of our own culture, bc we believed it was appropriate and must be done in order to "fit in" with a systemically racist society. i think it is absolutely beautiful and powerful, so symbolic, when bong joon ho stood on that stage and gave his acceptance speech in korean. it was liberating, and i was completely floored.

3


Reply

@inunine1115
@inunine1115
2 years ago
미국에서 소수인종 마이너리티로 살아온 본인들도 알고는 있지만 절대 쉽게 내색하지 못하고 체념하고 묵인하던 유리천장의 현실을 봉감독이 로컬이란 단어하나로 한방 먹이고 상까지 휩쓴거에 엄청 통쾌함을 느낀듯.....

6


Reply

@hanskim6536
@hanskim6536
3 years ago (edited)
봉준호 감독님 아시안이라 해서 꿇리지 않는 모습이 인상 깊었어요.  골든 글로브 외국어영화상 받을 때, 외국어영화상이라서 외국어 통역사 데리고 왔다고 당당하게 농담하고, 오스카 감독상 소감 말할 땐 오히려 통역 타이밍을 이용하여 스콜세지 감독에게 기립박수하는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죠.

95


Reply


1 reply
@anneyoo945
@anneyoo945
3 years ago
I hope someone could spread this video widely for everybody. This is not just a short interview about the new movie but showing great thoughts and minds she has and others should learn.

7


Reply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
3 years ago
산드라오 너무 좋아하는 배우인데, 봉준호 감독님 수상할 때 아이처럼 좋아하는 모습이 아직도 잊혀지질 않네요~ 로컬축제로 칭한 부분에서 많은 걸 대단하다고 생각했어요~ 인터뷰 영상 감사히 보고 갑니다.

7


Reply

@kelliemoon2796
@kelliemoon2796
3 years ago
This is so true...  Something I, as an Asian woman  can definitely identify with growing up in Canada.  Thank you for this discussion.  We need more of this.

30


Reply

@pdoublek
@pdoublek
3 years ago (edited)
사실 봉감독이 한 말의 요지는 칸영화제가 국제영화제라면 오스카는 영어권, 특히 미국 위주의 로컬영화제니까
그냥 "베리 로컬"하다고 말한 건데 그걸 미국인들만 깨닫지 못하고 있었던 거였지 ㅋ
심지어 이 대답의 질문이 뭐였냐면 한국영화가 지난 20년간 전 세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는데
왜 오스카에는 단 한 번도 후보에 오르지 못했느냐였음 ㅋㅋㅋ

1.3K


Reply


11 replies
@LyK41
@LyK41
3 years ago
제 생각에는 할리우드 감독들 중에도 오스카 못탄 감독들 많거든요.. 결국에 좋은 영화의 기준은 꼭 오스카만은 아니에요~~ 한국의 좋은 영화들이 오스카를 거쳐야만 좋은 영화로 인정받는다면 정말로 전 세계에서 모여드는 그 격한 경쟁의 세계에서 이겨야만 한다면~ 그건 이미 창작의 세계를 벗어난 약육강식의 세계겠죠.. 정말 상업성, 정치성, 모두 떠난 순수 예술가들이 많이 활동하고 인정받는 세상이 바로 창의적인 사회겠죠.

52


Reply

@reneekim5507
@reneekim5507
3 years ago (edited)
한국 영화가 오스카에 올라갈라면 미국 극장에서 개봉해야합니다~^^ ( 미국 영화 조합의 방침 )

외국 영화 ( 지금은 인터네셔널 후보 ) 후보를 제외하면 다른 부분에선 무조건 미국 개봉이 전제하에 있습니당~^^

25


Reply

@pdoublek
@pdoublek
3 years ago (edited)
 @reneekim5507  지난 20년간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었던 한국영화들은 거의 다 미국에서 개봉했었습니다만... 그보단 캠페인의 유무에 따라 후보 선정의 향방이 갈린다고 해야 맞습니다. 결국 의지와 투자의 문제인 것이지 결코 영화의 수준이 달려서 후보에 들지 못했던 건 아니란 거죠. 외국어영화상이 아닌 일반 부문은 애초에 언감생심이었던 것도 있었고요. 미국인들이 쳐 놓은 울타리에 비영어권 영화인들마저 매몰되어 있었다고나 할까요.

21


Reply

@hss2941
@hss2941
3 years ago
저도 오스카는 원래 헐리웃 영화에만 상 주는 미국 영화제라고 생각했어요. 국제 영화제라고 생각한 적이 없네요 ㅎ

114


Reply

@Baby-um2br
@Baby-um2br
3 years ago
왜 오스카에는 단 한 번도 후보에 오르지 못했냐라.... 뭔가... 음 본인들은 오스카라는 영화제를 굉장히 높게 생각하고 있다는게 느껴지네요ㅎ 비꼬는 느낌이 아니라 진짜로 너네가 그렇게 대단한 영화들을 만들어왔는데도 왜 우리 영화제에서 상을 못받았을까..? 우리는 국제적인 영화제라 잘만든영화에는 상을 꼭 주는데..? 이런느낌? 본인들만의 사상에 갇혀서 깨어나오기가 힘든게 느껴집니다..

114


Reply

@JenHjoonie
@JenHjoonie
3 years ago
자부심을 넘어서 오만한 미국인들 한방 맥임

34


Reply

@kangjunga2185
@kangjunga2185
3 years ago
봉준호 감독 답이 정답. 
왜 미국영화가 충무로에서 상 안탔냐고 하면.. 이건 로컬인데 뭐? 
왜 한국영화가 지금까지 오스카 못탔냐는 질문 자체가 미국중심적. 왜 오스카를 받아야 하는데?

141


Reply

@JenHjoonie
@JenHjoonie
3 years ago
Master plan 무시하는게 아니라 미국기자들이 먼저 봉준호한테 오스카타고싶지 이런질문 계속하고 좋은한국영화 많은데 왜 오스카 한번도 못받았냐 했잖아요. 대단한 영화제이긴 하지만 결국엔 어떻게보면 미국만의 축제인데 외국인 감독한테 자꾸 저런질문하는게 오만한거

60


Reply

@user-rj1wi8ie8w
@user-rj1wi8ie8w
3 years ago
Kang Jung A 아 명쾌한 비유 감사합니다. 딱 이해가 바로 되네요.

1


Reply

@user-cl6hv4xv2p
@user-cl6hv4xv2p
3 years ago
헐리우드 배우에게 왜 kbs 연기대상 후보에 오르지 못하냐는 질문 같은건가

26


Reply


Show more replies
@lemphicka
@lemphicka
3 years ago
이 짧은 대화속에서도 배울게 정말 많네요. 토론을 할 때 지켜야 할 태도, 말투, 시선, 지성과 이해도...모든것들을 배워갑니다.

18


Reply

@user-lk8zb8jn6l
@user-lk8zb8jn6l
3 years ago
세상에나 이렇게 완벽한 인터뷰어&인터뷰이 궁합을 본게 얼마만이죠...

15


Reply

@eb5142
@eb5142
3 years ago
아효 이렇게 좋은 인터뷰를 주시고...ㅠㅠ 왓챠 정말 귀하다.. 사랑하는거 알죠?

206


Reply

@jeongpark9350
@jeongpark9350
3 years ago
인품과 지성의 격이 느껴지는 인터뷰. 고맙습니다.

18


Reply

@Sugafull27
@Sugafull27
2 years ago
That is so true. “He was never lived in a racist society.” So was able to be freer in expression during his interviews or speech than us like living in a western world. This was so mind blowing and so satisfying to see.

26


Reply


6 replies
@philipseo1225
@philipseo1225
2 years ago (edited)
이 영상을 보고나서 큰 충격을 받습니다. 영상과 여기 있는 댓글들이 제가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에 대한 정답을 던져주네요. 저는 고향의 한국의 땅에서 캐나다로 10년전 이민을오고 이제막 24살이 된 청년입니다. 제가 14살이 되던때 아무이유도 모르고 저희의 미래를 위하는 거라면서 부모님은 저를 비행기에 태우셨죠. 여자에게 잘보이고 싶어 이제 막 개성있게 옷을입기 시작하던 중2병이 찾아오는 시기였던 그런 평범한 저였었고. 한국 교복이 이제막 편해질때쯤 저는 갑작스럽게 낯선 백인들이 경계하며 바라보는 친구없는 클래스에 던져졌었습니다. 저는 적응이라 생각하면서 그 안에서 늘 꿀리지 않고 나를 증명해야됬었고 점점 그들이 나를 무시하지 못하게 우스꽝스러운 개인기나 한국어로 욕하는 방법을 가르쳐 줬어야 했었죠. 

그러면서 스스로 한테 늘 항상 코리안이라는 박스안에 가뒀고 마음 구석에는 피해의식이 사로잡고 있었죠. 언제부터 였을까요 외국에 살면서 늘 당당하게 살아야했고 아무런 상처가 없는척을 했어야 했습니다. 한번은 부모님이 돈이 궁핍해 중고차 하나 때문에 저와 형앞에서 크게 싸우시는것도 보고 먹을꺼 가지고 다투는것도 보고 이민와 처음으로 아버지가 고개 내리고 어린사람에게 무시당하는 장면을 목격한적도 있습니다. 그런 모습을 보고 자란 저는 늘 마음한켠에는 누군가와 싸워 이겨야하고 이 외국 사회에서 무조건 성공해야겠다라는 생각밖에 없었습니다. 한번도 스스로가 가진 상처와 피해의식에 대해 질문하지 않았고 백인들이 길거리에서 지나가면 쏘리쏘리 거리면서 자연스레 먼저 비켜주는 저희 가족을 보는게 당연했습니다. 

하지만 이 봉준호 감독이 저 큰무대에 올라가 쫄지 않고 담담하게 수많은 백인 앞에서 농담을 던지는게 저에게도 너무 멋잇고 자랑스러웠습니다. 어쩌면 저도 늘 저렇게 되고 싶지만 스스로에게 너무가두고 실제 저런 순간이 오면 앉아있는 그들의 눈치를 보다가 쏘리라고 말하면서 상을 거부하지 않을까...생각됩니다.

아직도 저에게는 큰 숙제로 남아있는 feeling accepted, appreciated, welcomed 이러한 감정들을 다시금 느끼고 싶습니다. 스스로가 한국인이라는 타이틀에서 벗어나서 사람대 사람으로 이 세상의 사람들을 마주하면 좋겠습니다.

36


Reply

@user-pv3qz9sn8c
@user-pv3qz9sn8c
3 years ago
인종차별없이  나고 자라서 순수한 봉감독님의 모습에 충격받으신듯
대부분의 유색인종 배우들이  많은 차별을 받으면서 배우생활하고 있으며서 그들도 그 방식이 잘못되었다는걸 알지만 어느순간 포기해버리고 일정부분 변화되지 않는 현실을 받아들인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는 것 아닐까요?

160


Reply


4 replies
@lasttrainhome8268
@lasttrainhome8268
3 years ago
봉준호 감독한테는 재밌는 점이 있지 지금까지 만든 영화를 봐도 충분히 많은 정치적 메세지가 들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그럴의도 그런 의미는 아니라고 말함 
그로 인해 불필요한 논쟁에서 파하게 되고 다시한번 자유롭게 여러 메세지를 전하게 됨 굉장히 영리한 행동으로 보임

242


Reply


4 replies
@himy79
@himy79
3 years ago (edited)
산드라 오는 명배우임.......그레이 아나토미에서 연기하는거 보면 정말 정말 연기잘하잖아....뭔가 얄밉게 행동하는거 같은데 사랑스럽고 캐릭터가 참 복합적인데 그것을 기가막히게 표현했음.......경쟁적이면서도 따뜻하고....유머러스하기도 하고 정말 독특한 캐릭터를 기가 막히게 연기했음....저 양반 참 연기잘함.....

74


Reply

@sejin0420
@sejin0420
3 years ago (edited)
정확한 지적. 마이노러티로 살아온 사람들은 스스로 눈치보고 자기검열을 함. 미리 주눅들거나 너무나 눈물겹도록 주류에 껴보려 노력하거나. 그래서 외국에서 사는건 언어습득이외의 멘탈 전반의 문제까지 고려해봐야함.특히 어린이청소년 시기

2K


Reply


27 replies
@LyK41
@LyK41
3 years ago
주류 문화 또한 참으로 안타까운거죠~~ 한국도 한국 나름대로 주류라는게 있죠~ 예를 들면 명문대~거기에 가기 위해 정말 12년을 학생들이 달리고~ 또 그게 싫어서 저 인종차별이 존재하는 외국으로 가기도 합니다.. 참 주류보다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우위 경쟁보다는 여기저기서 행복이 넘치는 그런 창의적인 인재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어요.. 주류를 쫒는 삶은 한국이든 외국이든 기회주의자 적인 발상이죠 결국은..

70


Reply

@dyddnjs47
@dyddnjs47
3 years ago
다문화의 산물

4


Reply

@user-xg7qi8lx1j
@user-xg7qi8lx1j
3 years ago
어떤 말인지는 알겠는데 비주류로 살아온이들 앞에서 안타까운 주류문화라고 말하는 건 좀 악어의 눈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명문대를 위한 코스라는게 누군가에겐 애초에 쥐어지지도 않는 진정한 비주류가 있는거일텐데요... 그리고 여기서 주류라함은 차별을 겪지않는 계층 비주류는 차별을 겪고있는 계층으로 나누어야 말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35


Reply

@LyK41
@LyK41
3 years ago (edited)
 @user-xg7qi8lx1j  다 해석하기 나름이죠~ 이세상에 항상 주류 비주류 차별은 어디든 있어왔다는게 제 이야기 입니다. 다양성과 개성이 중요하고 받아들여져야  인종  남녀  학벌 차별등이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12


Reply

@kukuku9870
@kukuku9870
3 years ago
다른건 모르겠지만 외국에 산다는건 언어습득 외에 멘탈을 고려해야한다는데 참 공감이 되네요.. 열심히 공부하다가 인종 차별 혹은 아닌데도 어떤 일을 당하면 멘탈이 바사삭 무너져요. 한국에서는 크게 와닿지 않을 일들이었는데 ㅠㅠ

74


Reply

@LyK41
@LyK41
3 years ago
 @kukuku9870  그래서 예전에 홍정욱씨 책 보면 인종차별 때문에 그렇게 공부 힘들게 해내거든요.. 요즘은 그정도로 심하진 않지만 외국에서 공부하는게 힘든건 집떠나서 외롭고 또 자국민이 아니라는 것 이방인으로 공부하고 또 거기서 뭘 해내야 한다는것.. 그거죠..한국은 또 경쟁이 쎄고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지만. 특히 외국은 영어 못하면 완전 불가능 하다고 봅니다.

7


Reply

@wj3543
@wj3543
3 years ago
이제는 익숙하고 나도 이 사회에 이방인이 아닌 일원이야 라고 생각하게 되어도 어느 순간 다시금 느껴지는 이질적인 느낌이 확실히 있어요
난 시민권자고 이곳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냈지만 이민자이고 외국인이고 어디에서 왔느냐는 말을 들어야하고 결국은 그렇게 내 위치에서 살아가게 되는걸 느껴요

16


Reply

@JenHjoonie
@JenHjoonie
3 years ago
미국사는데 미국에서 비주류로 사느니 한국에서 주류로 살고싶다는 생각함. 윗분 말처럼 기회주의적인 생각이 아니라 비주류로는 아무리 발버둥 쳐도 한계에서 못벗어남. 미국에서는 동양인 인권에 대해서는 관심도 없고 아무리 학벌뛰어나고 능력 좋아도 승진 하기도 힘듬. 그냥 동양인들은 영원한 외국인 영원한 이민자임

15


Reply

@user-if2vz8jy6i
@user-if2vz8jy6i
3 years ago
공감



Reply

@samoh6084
@samoh6084
3 years ago (edited)
 @JenHjoonie  어쩔수없어요. 그건 절대 없어질것 같지않아요. 그 사회의 일원은 맞죠.그걸 본인도 아실거고요. 근데 문제점은 단지 사회의 일원이라고 느끼는것이 부족하다고 무의식적으로 본인이 무엇인가 궁핍한것을 느끼는거죠. 그게 바로 어쩔수없는 한국인으로서 본인이 가지고계신 뿌리고요. 적어도 한국이 요즘 국제적으로 인식이 좋아지는걸 넘어서 일본도 못해내던 무언가를 하고있는것 같습니다. 예전에 친구들이랑 애기하던중 흥미로운 말을 들었는데. '너는 니가 돌아갈수있는 나라가 있어서 다행이야' 라는 말 이엿거든요. 나라를 읽은 사람들의 슬픔의 존재는 아무리 부정하려해도 부정할수없죠. 아무리 차별을 당해도 돌아갈 나라 그리고 그나라가 여느나라도 아닌 한국이란게 정말 다행인것 같에요. 차별받아도 돌아갈나라가 없는 사람들에 비교해봤을때요(북미 원주민, 흑인.

7


Reply


Show more replies
@navyblue76
@navyblue76
3 years ago
Wow, this was great.  Sharon interviewing Sandra... such a great point she made about director Bong.  This definitely made my day.

7


Reply

@shjp5667
@shjp5667
2 years ago
영상에 거의 빠져들듯이 몰입해서 봤네요.. 생각해보지 못했던 시각에서 쟁점들 다루어주셔서 너무 재미나게 잘 봤습니다!

2


Reply

@alpinestar1943
@alpinestar1943
1 year ago
Sandra Oh is such an underrated actress. Her acting is so good.

1


Reply

@user-dj7ov4pm5f
@user-dj7ov4pm5f
3 years ago
I love her reaction to the comment "it's local"! She is so funny and relatable :) love to see Sharon interviewing Sandra

4


Reply

@maylewis2421
@maylewis2421
3 years ago
I love Sandra and her thoughts. I miss her on Greys. Her character was so good.

15


Reply

@misousa888
@misousa888
3 years ago
Love this interview.  It’s so honest and truthful!!  Love these two ladies!!

1


Reply

@NightEast
@NightEast
3 years ago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내 친척동생들이 처음에 한국에 왔을때 보여줬던 충격받았던 모습들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얼마나 억눌려 살아왔냐가 보였기 때문이죠
번화가에 데리고 나갔더니 감격하면서 몸을 떨며 말하더군요 "오빠 여기 길에 모든 사람들이 한국인이야 너무 신기해"
그 이후로 계속 미국에서 살며 느꼈던 크고 작은 제약이나 눈치들을 전혀 모르고 활개치며 사는 본토한국인들의 모습을 보고 많은 것을 느꼈을거라 봅니다.

353


Reply


14 replies
@YnKei
@YnKei
3 years ago
산드라 오는 말할때 표정이랑 제스쳐가 정말 풍부하네요
온몸으로 말하는 느낌.
5개의 인터뷰 내용 모두 좋았습니다.  인터뷰 하는사람 받는사람 모두 최고

1


Reply

@unknown5211
@unknown5211
3 years ago
와..되게 와닿는다 한번도 소수였던 적이 없었던 사람의 자유로움 ㅋㅋ

84


Reply

@jchoi7126
@jchoi7126
3 years ago
외국에 오래산 사람으로써 산드라님의 말씀에 매우 공감합니다. 정말 멋진 인터뷰네요.

11


Reply

@ddalgeexD
@ddalgeexD
3 years ago
I LOVE sandra oh. She is an amazing actress and I often watch movies and shows just because she's in them. Thank you for this interview.

2


Reply

@jasonkim3310
@jasonkim3310
3 years ago
산드라 오 인터뷰임에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기술이 정말 대단하네요. 내용은 말할것도 없고요. 대단한 배우라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드네요.

1


Reply

@beuplate9287
@beuplate9287
3 years ago
산드라오반응을 보니 로컬이라는 단어가 백인들에겐 얼마나 큰 충격이었을지 느껴지네요

2.7K


Reply


41 replies
@kolls_koreanlanguagelearni3556
@kolls_koreanlanguagelearni3556
3 years ago
되게 마음에 와 닿는 인터뷰네요...  차별, 편견이 사라지는 날이 올까요?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꼭 그 날이 오길 바랍니다.

11


Reply

@jihakang7402
@jihakang7402
3 years ago
저만 그렇게 느끼는 게 아닐꺼예요 특히 외국에 사는 한국인(아시안)이라면요. 이 두 여성의 대화가 얼마나 반갑고 고맙다는 거요. Thanks a bunch ❤️

11


Reply


1 reply
@airyfairy2396
@airyfairy2396
3 years ago
멋진 인터뷰네요. 들을 만한 내용이 있는 인터뷰요. 오스카 시상식 때 봉준호 감독이 수상하자 일어서서 박수치시는 거 보고, 제가 다 울컥했어요. 거기서 인종차별 받으며 평생 힘들었던 한 부부가 BTS의 미국 콘서트 때 미국 한 가운데서 한국어 떼창이 일어나는 걸 보고 충격과 함께 눈물이 났다던 이야기도 생각나네요. 두 분 다 응원합니다!

2


Reply

@f8rwhat_118
@f8rwhat_118
3 years ago
좀 다른 이야기지만 두분 너무 귀엽다...ㅎㅂㅎ

+) 왓챠 진짜 일 잘한다..... bb 초기때부터 이용해오던 유저인데 왓챠 덕분에 인생 작품 많이 만났어요. 
사랑해 왓챠/ㅁ/

12


Reply

@CC--ve4pb
@CC--ve4pb
3 years ago
이렇게 인터뷰하는 거 너무 좋은 듯 TT 진짜 좋은 조합

4


Reply

@JAYKEEOUT
@JAYKEEOUT
3 years ago
👏🏻👏🏻👏🏻

249


Reply


2 replies
@leej-vq6hl
@leej-vq6hl
3 years ago
this is exactly how racism impacts an individual. no one's future should be compromised nor underestimated because of race, religion or gender. in the Korean society, Bong was hardly socially oppressed of who he is. he is a male with a decent education background, in a prominently patriarchal society.  he was never discriminated because of his gender or race hence he could aspire to do what he wants to pursue.

197


Reply


9 replies
@hk-t1217k
@hk-t1217k
3 years ago
Sandra has said it perfectly!! Lol also, "sophisticated shade.." love it!! I'm so proud of Director Bong as a fellow Korean!

1


Reply

@kyliefavor
@kyliefavor
3 years ago (edited)
Wow!!! That’s perfect point of view... as I am Korean, born and raised Korea but been lived in abroad for a long time since I was 26. I totally get what Sandra talking about. Korean who never been lived in abroad will never need to feel about those complexities... every time, every day.. I felt like there is some anxiety inside and I am less than others.. it’s certainly some kind of deeply impact to my self-esteem. I don’t see myself like I saw myself in Korea.

189


Reply


11 replies
@jamiesong1974
@jamiesong1974
3 years ago
산드라 오가 정말 감동받은 거 같아서 나 역시 감동이었다.  어떤 막이 없이 그냥 그 자체로 free했다는 게 무슨 말인지 나도 알겠더라... 뿌듯했다...

28


Reply

@gwinter4251
@gwinter4251
2 years ago (edited)
초등학교 끝나고 캐나다 그것도 시골 백인 밖에 없는 곳에서 자란 사람으로서, 진짜 너무너무 공감간다. 난 대중매체에 나오는 그다지 적응에 성공한 사람은 아니였기 때문에.. 항상 눈치 보고 자기 검열과 숨쉬는게 부끄러웠고 소수로서의 준비되지 않았던 난 아직까지 지금도 나대로 살고 있지 못하다는 생각이든다. 항상 마이너로 살아왔기에, 산드라오 배우가 얘기하는 그 막이란게 항상 우리를 둘러싸고 있다는 사실도 정말 깊게 통감한다.
Im so glad she pointed out those ambiguous barriers around asian american, and as a minor member of society who grew up surrounded by different races, what they said came to me so deep.. i almost want to cry :(

5


Reply

@jihyunchae8504
@jihyunchae8504
2 years ago
계층의 가장 정점에 위치한 나라를 local이라는 단어 하나로 타자화시키는 발언...진짜 고급지고 충격적이다 ㅎㅎ

6


Reply

@ybleague
@ybleague
3 years ago
한국에서 쭉 살아온(소수인종이었던 경험이 없던) 나 같은 사람도 오스카가 로컬이라는 봉감독의 말이 꽤나 머리를 때리는 말이였는데, 미국에서 동양인 여자로 살아온 산드라 오에게 어느정도의 충격이었는지 이번 인터뷰에서 크게 느껴지네요 ㅎㅎ

2


Reply

@AM-vb4gu
@AM-vb4gu
3 years ago
와! 진짜 산드라 오씨는 정말 생각이 깊고, 그걸 표현해내는 것과 말을 참 잘하네요.

2


Reply

@sxj42
@sxj42
2 years ago
아카데미 수상식때 박수치며 기뻐하는 산드라 오를 보며, 그동안의 설움이 씻겨지는걸 느꼈습니다. 꼭 그 맘에 대한 얘기를 듣고 싶었는데, 여기에 있네요!

3


Reply

@carastanson1836
@carastanson1836
3 years ago
산드라 오가 받았을 신선한 충격이 뭔지 알거 같음 동시에 미국에서 자란 동양인의 아픔과 괴리감도 느껴짐

585


Reply


5 replies
@samoh6084
@samoh6084
3 years ago (edited)
I compeletely get what sandra oh was saying about "an asian man who hasnt experienced any systematic racism". Bong was able to radiate that on the stage yes because he wasn't raised in a culture, a society where asian men are often viewed as any less than other races but because he was in my view able to carry I guess what some people would say "swag" mainly because of his realization on the power that comes from being korean. It's the same thing as how most white people will hold on to their white identity as the main ground for making them feel more powerful about themselves. It's a weapon you can use to defend status. Not any asian man of any asian ethnicity could have given off that much confident "I don't care" vibe. I say this because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stem from a certain culture or a country is significant. One thing I don't agree with Sandra and Sharon is that Bong does somehow appear to be aware of racism and he also seems to be aware where he might find himself in the racial hierarchy (just not to the same degree as someone who has been rasied in countries like the states). He seems to know how to play around with the whole bullshit in society just a bit better than regular people. Oscar is "local", this statement can be interpreted to me as " I don't care what you guys think. I have my life together and I have friends who support me. Thank you for the award by the way". My movie is great anyways

37


Reply


1 reply
@karengrace6890
@karengrace6890
2 years ago (edited)
I was born in America and I'm ethnically Chinese. When I was in college, I roomed with several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and despit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America and China, I can tell you that they had 5 times the amount of chutzpah that I did and seemed fearless. They were, in Sandra Oh's terms, "free".

38


Reply

@SL-dx1ln
@SL-dx1ln
3 years ago
산드라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서 그동안 얼마나 힘들었는지가 느껴진다

1


Reply

@Hdidbi_3049
@Hdidbi_3049
2 years ago
going back to my family in Sudan and seeing everyone speak Arabic and look like me is just so liberating. yes colorism exists but I have never felt as home as there, I’m thankful but I would never ever live in Europe if Sudan wasn’t doing as bad as it is.

2


Reply

@dstarofdawn
@dstarofdawn
3 years ago
I knew about the Oscar wins by director Bong Joon Ho but I didn't watch the speeches. I'm wondering what Sandra Oh is referring to, specifically, when she mentioned something he said about being "local". 

Sandra Oh is brilliant and has always been. This interview is a wonderful one on so many levels.

1


Reply


2 replies
@KaraLee
@KaraLee
3 years ago
YAAASSS, Sandra. I absolutely love this brilliant woman 💖

2


Reply

@user-xx2me6oe9x
@user-xx2me6oe9x
2 years ago (edited)
맞아요, 교포들만의 늬낌, 
그게 보호막이 되었든 방어막이 되었든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려면 형성되는게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봉감독님 존경해요. 세련되고 속깊고 지적인 사람입니다.

1


Reply

@kjames1414
@kjames1414
1 year ago
I loved the story. I may not be Korean, but I appreciate the aspect of the story. I'm indeginous and the story was about a person, not the the Korean, but the whole person.

3


Reply

@YK-fh8ug
@YK-fh8ug
3 years ago
이런 토크  너무 좋아요!! 구독 눌렀어요! 흥하시길 바랍니다.
 산드라님, 오스카시상식에서 기생충이 호명될때 진심으로 기뻐하며 축하해주시던 모습이 제겐 무척 감동이었습니다. 
소수민족으로서 할리우드에서 지금의 위치에 가기까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차별을 그곳에서 겪었을지 제 상상이상일것입니다. 너무도 훌륭하고 대단하십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토론토에서.



Reply

@itsmeyhc
@itsmeyhc
3 years ago
I’m downloading the Watcha App now :)

we should always remember that we don’t need approval or acknowledgement from others nor the “mainstream” and just enjoy being ourselves. It’s not easy - I myself feel guilty when I’m not acting as a ‘woman’, wife’, ‘asian’ or ‘mom’- but I believe it’s worth a try to live as a genunine “ME”. Hope everyone gets to live and desire as themselves! Love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speakers😍

3


Reply

@estherk5786
@estherk5786
2 years ago
So true.  He never felt like a minority.  He's free.  Amazing.  I teared up when Sandra said those words.

4


Reply

@user-uu5zh6pk9i
@user-uu5zh6pk9i
3 years ago
너무 슬퍼서 눈물이 나네요. (산드라오의 사회에서는) 동양인이면 당연히 가져야 할 열등감과 위축이 없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격인 산드라오의 모습을 보니... ㅠㅠ

10


Reply

@piscestw
@piscestw
3 years ago
산드라의 얘길 듣고나서 인종차별의 벽이 어떤건지 느낄수 있었다.  
Nature never deceives us; it is always we who deceive ourselves.

57


Reply

@BanillaVean
@BanillaVean
2 years ago
I agree that Bong Joon-ho is an amazing film maker, who I personally have been following since Mother and Host. But as a foreigner, that lived in Korea for over four years as a Korean translator to say there's no racism in Korea is silly. It's a culture that still actively shows blackface on television and has no problems throwing out racial slurs towards people of color and other Asians in the streets. I absolutely love Korea, but it is not a country without faults. It's not that he has never experienced racism. He has just never been the target of racism in Korea as a part of the majority group of a nearly entirely homogeneous society.

80


Reply


15 replies
@kawaiirainbow805
@kawaiirainbow805
2 years ago
I like her voice and English fluency and the way she deliver her speech is awesome!



Reply

@nohsdiary
@nohsdiary
9 months ago
인터뷰 두 번 보게 되네요. 너무 진정성있고 통찰력 있는 대화예요.

1


Reply

@puffingraccoon420tv6
@puffingraccoon420tv6
2 years ago
Killing eve was awesome. Sandra Oh is such an great actress!

2


Reply

@daVi-zk9it
@daVi-zk9it
3 years ago (edited)
봉감독이 했던 ‘가장 한국적인게 세계적’이란 말을 다시 되짚어본다면, 쉬쉬하면서도 결국은 전세계의 주류의 흐름을 이끄는 편견들을 아예 생각치 않고 스스로가 되려고 하는게 그 답이었던거 같네요. 편견들을 생각조차 안하면서도 스스로가 뻔한 경계 안에서 벗어나는것.  정말 어려운거죠



Reply

@lunal9815
@lunal9815
3 years ago
It's little sad watching this that I could realize how much she's been through as an asian woman in america. Big cheer from south korea. Hope she can visit korea very soon. She'll be so welcomed.

673


Reply


16 replies
@ezdvdze
@ezdvdze
3 years ago (edited)
산드라님의 이런 저런 생각을 알게 돼서 너무 좋다

11


Reply

@user-bl1on8hp6l
@user-bl1on8hp6l
3 years ago
샤론 최와 산드라 오의 조합이라니!!! 정상과 정상 최고와 최고의 만남이네요. 이 조합을 볼 수 있게 해준 왓챠 감사합니다... 둘의 인터뷰 주제도 정말 유의미하고요. 정말 최고의 영상... 최고의 인터뷰...

1


Reply

@honeyday
@honeyday
2 years ago
똑똑하고 합리적이고 젠틀하고 유머러스한 대화. 보는 내내 너무 즐거웠습니다!! 감사해요♡♡♡♡♡

1


Reply

@ohoct4865
@ohoct4865
1 year ago
인터뷰 너무 좋아서 가끔 보러와요.

1


Reply

@gemmakim354
@gemmakim354
3 years ago
인터뷰 진짜 너무 좋네요..

46


Reply

@user-sw4sj7ss9c
@user-sw4sj7ss9c
2 years ago
오!~ 그래서 산드라 오 배우가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그렇게 진심으로 환호하면서 열열히 박수를 치셨구나... 마스터 봉은 다 계획이 있으셨구나....



Reply

@ramb113
@ramb113
3 years ago
제가 서양매체를 볼때마다 느낀거에요
동양인을 꼭 어떤 버블에 가두려고하고 동양인들도 그거에 갖혀서 자라와서 그걸관련해서 자신을 희화화하더라구요. 그리고 흑인관련해선 상대도 좀조심하는데 동양인관련해선 지들도 선넘게 조크랍시고하고 기분나빠하면 진지충으로 몰아가더군요 그리고 자기들이 정해둔 버블밖으로 나오려하면 엄청 불편해하거나 trying too hard 이란식으로 애잔,우습게보더라구요
저는 진짜 그런환경에서 자라지않아 다행이라고 생각했고 그런환경에서 자랐어야했을 소수인종들 안타까워요

3.5K


Reply


117 replies
@user-sc9sv4cr8q
@user-sc9sv4cr8q
3 years ago
맞아요 크리스락이 오스카에서 농담이랍시고 동양계 어린이들을 보고 “미래의 회계사”라고 지칭하고 뒤이어 “이 농담에 대해 불만있으면 핸드폰으로 트윗해. 그 핸드폰들도 이 아이들이 만든 거야” 라고 했던 게 생각나네요... 사과는 커녕 별로 논란도 안되고 어영부영 넘어갔죠

461


Reply

@ramb113
@ramb113
3 years ago
 @user-sc9sv4cr8q  그런 농담들도 솔직히 우리입장에선 하나도 안웃기잖아요
쟤들커서 회계사 의사 엔지니어 될꺼야 이러는거
우리는 한국에서 뭐든 될수있다고 들으며 컸으니깐요
근데 미국내아시안들은 그거에 웃고 자기들이 그런조크를 쓰더라구요
뭐든될수없다는걸 부모들이 누구보다 아니까 그나마 차별덜한 공학쪽이나 엔지니어링 쪽으로 진로 잡는건데 그걸 유우머랍시고 ㅋㅋ..

348


Reply

@happyforever7
@happyforever7
3 years ago
특히나 공부만 잘하는애들 찐따로 보는 미국사회에서 그런 농담하는거 걍 아시안 찐따로 보고있는거죠

199


Reply

@user-is8sy8bw7u
@user-is8sy8bw7u
3 years ago
내면이든 외면이든 동양인을 무시하는게 백인들 사회에는 깔려 있죠 
그냥 표현인 하우대어유 같은게 항상 바탕에 깔려있는 상태로 대화하는 느낌을 갖는 경우가 많죠

122


Reply

@user-hq9mg1dj6x
@user-hq9mg1dj6x
3 years ago
 @iwasborn2loveU   우리들부터 노력을 해야죠. 주변사람들한테 설득을 하고요

26


Reply

@user-hh1gf8kp4g
@user-hh1gf8kp4g
3 years ago (edited)
SB Kim 한국형 페미가 욕을 먹는 이유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댓글이네요. 만연하고 있는 남성차별/남성혐오는 애써 외면하거나 '남자니까' 당연히 감수해야 하는 거라며 역차별적인 행태를 보이는 그들. 게다가 요새 여성 배우들의 수준과 비중이 얼마나 높아졌는데 '외모 덕에 무임승차를 한다', '무능력한 액서세리'라며 같은 여성끼리 코르셋을 씌우는 아이러니는 덤이고요. 
특히 k드라마 열풍이 뜨거운 드라마판에선 여주 투탑은 물론이거니와 역하렘물, 여주 원탑물 등 여자가 캐리하는 작품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애초에 작가들부터 대부분 여자들이죠. 이분 논리대로라면 드라마판은 남성 차별이 횡행하는데 남성 차별 반대운동은 안하세요? 할당제라던가, 젊고 풋풋한 주연급 남자들 그만 좀 캐스팅하라던가?
애초에 여성을 타겟으로 삼았냐/남성을 타겟으로 삼았냐에 따라 기획이 달라지는 상업적인 컨텐츠를 가지고 성별 배분을 따지는 것부터 지능이 모자라다는 걸 잘 말해주고 있죠.
SB Kim is just a common 'feminist' everywhere. I recommend simply ignoring it  ¯\_(ツ)_/¯

89


Reply

@hanskim6536
@hanskim6536
3 years ago
SB Kim 참고로 영화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 역사상 최초로 여성 유색인종 제작자가 작품상을 수상했습니다.

28


Reply

@user-hh1gf8kp4g
@user-hh1gf8kp4g
3 years ago
야 그리고 유리천장이 너무 심해서 여자는 남자의 2배나 노력을 해야 한다며. 그 엄청난 기득권에 호사를 누리는 남자들이 왜 못나서 여자탓을 하냐 ㅋㅋ
자기 논리도 앞뒤가 안맞는데 바보인가 진짜 ㅎㅎ

37


Reply

@user-hh1gf8kp4g
@user-hh1gf8kp4g
3 years ago
도대체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노력해야 한다는 수치가 어디서 나왔을까? 통계? 논리적 추론? 그랬으면 오죽 좋았겠냐만, 페미를 배우라고 목놓아 부르짖는 웬 루저의 뇌속에서 도출된 망상이라는 사실 ㅠ
그래서 너네가 지지를 못 받는거야. 자기가 불리할 땐 꼴리는대로 아무 숫자나 불러대면서 감성적으로 우기고, 할 말 없으면 공부하라고 빽빽대니까.

41


Reply


Show more replies
@ericamichelle3631
@ericamichelle3631
2 years ago
Ive seen this so many times. Sandra Oh is amazing.

1


Reply

@iou4326
@iou4326
3 years ago
산드라오님이 느꼈을 그 막이란걸 얼마나 많이 느끼고  나중엔 당연한걸로 알았겠죠   배우의 표현력은 남다르네요  몸짓과 표정으로 감정이 전달됨



Reply

@Odysseus_Outis
@Odysseus_Outis
2 years ago
Oscar를 local awards라고 말하는 순간~이 얼마나 많은 자극이 됐던지,
상을 4개나 수여하고, 해외~라는 말을 국제란 말로 바꿔 수상시킨 첫 번 사례가 된 것만으로도 느낄 수 있었는데,,,
산드라 님의 소감을 들으면서, 아~ 저런 측면으로 전달된 신선함도 있구나, 깨닫네요.

1


Reply

@ryanscube4091
@ryanscube4091
3 years ago (edited)
저는 한국에 살다가 지금 캐나다에 사는데 산드라 오님의 얘기는 완전 공감합니다. 전 한국에서도 미국계 회사에 다녔었는데.. 오히려 한국에 살면서 백인들은 왜 다 지적이고 깨끗한가라는 생각을 한적이 있습니다 근데 막상 캐나다에 와보니 무식하고 마약에 쩌들고 문신하고 목욕잘안하고 자존감이 낮은 백인들이 거의 다라는 확신을 갖게되었습니다. 단지 한국에서 본 백인들은 단지 주제원으로 온 특출란 사람들 뿐이라는거... 저도 다시 돌아갈 greatest Korea가 뒤에 있어서 그런지 백인들에게 쫄지 않습니다 오히려 모자 티셔츠 자동차에 한국 태극기 붙이고 다니고 중국인 아닌거 당당히 얘기하니 다들 좋아합니다
태극기가 내 몸과 함께 따라다니니 오히려 공중도덕 더 잘지키고 식당가서 tip도 백인들한테 더 주니 한국에서 왔냐고 더 좋아 하더군요. 핵심은 이겁니다 자격지심이아닌 자존감. 언젠가 우리아이가 학교갔다와서 오늘 새친구 사겼다고하더군요? 그래서 백인이야 아시안이야? 했더니 7살 아들이 하는말이 나도 백인인데? 왜그런걸 물어봐 ? 그때 집사람과 저는 이 아이에게 잘얘기해야겠다는 생각 갖게 되었습이다. 아이가 남자 아이치곤 피부가 하얀편이어서 자기도 평소에 백인이라 생각했나하더군요. 여기서 선입견을 갖게되면 자존감이 낮은 아이가될수도 있을것같아 굳이 구분하여 얘기하지않고 지역(대륙)적인 구분이라고만 하고 접었습니다. 드리고 한국이 이세상에서 얼마나 중요한 국가이고 잘살고 멋진나라인것을 항상 주지해주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아이는 항상 한국인임을 자랑스러워 하고 백인에게 절때 꿀리지 않게 학교 생활 하고있습니다. 인종차별이 뭔지도 모르고 말이죠! 부작용은 한국의 역사를 얘기해주니 자연스럽게 일본 싫어하게되네요!! 역사를 모르고 살수없으니 이것도 그 아이의 숙명인 것이지요. 언젠가는 이 아이가 앞으로 이떤 고난을 맞을지 모르지만 ..아이때부터 자존감높은 아이들은 평생가는걸 알기에 본인이 정글에서 잘 해쳐나가길 고대하고 있습니다. 그 뒤에는 cool한 대한민국이 버티고 있으니까요~ 더이상 걱정하지 않습니다.저나 제와이프도 한국에서 배울만큼 배웠고 인종차별을 받을 필요도 자격지심도 사실 1도 없습니다. 솔직이 꿀릴것 없다고 생각합니다. 산드라 오의 소수민족의 고충 완전 공감합니다 . 한국은 이제 대단한 나라입니다. 문화를 잡는나라는 절대 구롼필요가 없습니다. 아시안으로 좌절감을 맞보셨다면 한국인으로써 믿고  당당히 앞으로 나오세요! 우리가 아시안과 중국인 굴레에서 구분하고 나오지 않으면 그들도 구분하지 않습니다.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146


Reply


6 replies
@russessss1870
@russessss1870
2 years ago
이 인터뷰는 시간이 지날수록 곱씹게 되요 몇번째 보는건지 볼때마다 새롭네요



Reply

@battlegroundmaster1875
@battlegroundmaster1875
3 years ago
Oh pointed really well about our conceptions about racial discrimination through Bong’s speech on Oscar award with casual conversation. I love it.

6


Reply

@violetc.
@violetc.
2 years ago (edited)
로컬 그 단어 하나에 백색인종 우월주의 사람들은 뒷통수 후려 맞은 충격을 받고 유.색.인.종.들은 소리지르면서 통쾌해 했죠 진짜 저도 그 부분에서 크게 웃었어요 너무 고급지고 멋져서요

1


Reply

@user-tt8mw8yr1o
@user-tt8mw8yr1o
3 years ago
미국에서 소수민족이라 인종
차별을 받았기에 봉감독이 
오스카 상을 받고 당당하게
서 있는 모습만 봐도 힘이 나고
생각이 바뀌었을 거라 짐작이
되네요 
"세상에 중심은 나다"라고
늘 생각하고 대접 받던 사람들이
"로컬"이라는 말에 얼마나
놀랐을까요 그 오만함은 곧
깨질 겁니다 역사가 말해주죠
흥망성쇠 
꼭대기에 있었으니 내려와야죠

1


Reply

@HaJungWoo7
@HaJungWoo7
3 years ago
봉감독님은 자신의 삶도 시나리오 쓰고 감독하면서 사시는것 같음 ^^ 그분의 자녀분들이 어떻게 성장할지 무척 기대됨, 그분들도 영화계 일한다고 감독한다고 들었음



Reply

@MiKa-yg8px
@MiKa-yg8px
3 years ago
와 정말 머리를 땡- 울리는 인터뷰네요. 산드라씨에게 봉감독의 모습이 좋은 자극제가 된 것 같아 기뻐요



Reply

@83025022
@83025022
3 years ago
로컬발언은 진짜...앞으로 3천년은 회자될 거임///

7


Reply

@hecarimj151
@hecarimj151
3 years ago
로컬 영화제..ㅋㅋㅋ
봉감독이 정말 곱게 먹이긴했지..뼈를 때리면서..ㅋㅋ

331


Reply

@prisciliamellark95
@prisciliamellark95
3 years ago
I agree, when he said it was very local, it's the truth that no one really dare to said it out loud, like a public secret, and when he said it out loud, people can help but agree

6


Reply

@seagorae
@seagorae
3 years ago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오. 같은 인종인데 주류인 사람과 비주류인 사람의 차이. .

137


Reply


1 reply
@user-xx6dr7mx6i
@user-xx6dr7mx6i
2 years ago
산드라 오님 연기력에 반했는데 말씀 들어보면 생각도 정말 깊으신것같아요. 산드라 오 배우님 팬이에요!! 인종차별에 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 내주셔서 너무 멋지고 감사해요. 사랑해요!!



Reply

@eun-solkim7080
@eun-solkim7080
3 years ago
A combination of people we never knew we needed to see.

10


Reply

@NickSilver
@NickSilver
3 years ago
미국에서 성공한 아시아 배우들이 말하는 걸 들어보면 단순히 연기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 굉장히 지적이고 똑똑한 사람이 많은 듯. 산드라 오도 그렇고, 의사 출신인 켄 정도 그렇고..

82


Reply


6 replies
@joyschow4651
@joyschow4651
2 years ago
Sandra Oh is talking about living in a world we are treated as 2nd class citizens and how it shaped our POV.  I remember asking a Chinese man where he was from.  He gave a very clear answer with innate pride and confidence,  "from China, OF COURSE."  How I envy that clarity he has on his identity.



Reply

@TheBoredKoreansChannel
@TheBoredKoreansChannel
3 years ago
I think thats why I feel a lot more happy living in Korea instead of anything else. I felt so good when he said that about it being local and all too hahaha

2


Reply

@suasuasuasuasuaus
@suasuasuasuasuaus
2 years ago (edited)
배우 산드라 오님. 평소에 책도 많이 읽으시는 듯- 말할 때 깊이가 느껴져서 넘 멋지다. 아 그리고 킬링이브 진심 재밌어요 ㅋㅋ 킬링이브때문에 왓챠 가입했었다는 ㅋㅋㅋ



Reply

@icu_Nmh
@icu_Nmh
3 years ago
봉준호감독이 아카데미를 로컬이라고 했을때, 쇠망치로 한대 크게 얻어맞은 느낌이었음.. 
그런데 너무 당당하게 순수하게 말하는걸 보고서
그저 와~~~~~~
그는 세계를 문화를 절대 편협하게 보지 않는 완전한 자유인중에 한명이이야!!



Reply

@SOFSYS
@SOFSYS
2 years ago
어떤이유로든 인종차별을 받지않고 살아왔다는게 행운일 수도 있겠습니다.
격어보지는 않았지만 산드라오가 말하는 바가 와 닿습니다.
당신도 너무나도 훌륭하게 해내고 있습니다~



Reply

@lbshim
@lbshim
3 years ago
Yes, as an one individual who lives in a society where one doesn’t feel himself as a part of majority, this topic, racism is so complicated in a way. But it’s not something to be ignored.

25


Reply

@didierrnt
@didierrnt
3 years ago
these clips were so interesting, I'd love to see the full interview

75


Reply

@user-dj6wd7pt7f
@user-dj6wd7pt7f
3 years ago
이런 가치있는 영상을 한국의 영화 플랫폼에서 보게 되다니 왓챠 다시보이네요. 구독 좋아요 누르고 정기결제 했습니다.

18


Reply

@user-so6ll1zw3t
@user-so6ll1zw3t
3 years ago
“로컬”이라고 한 그 순간에 그 백인들에게  우물안에 개구리였다는 것을 최대한 우아하고 위트있게 한방에 날려준거지

252


Reply

@user-cu5ob1zo8w
@user-cu5ob1zo8w
3 years ago
미쿡을 여행하는 중간중간에 동양인인 나를 하대하는 듯한 미쿡인들의 시선과 태도가 불쾌했었는데 뿌리깊은 거였네요 미쿡에 사는 동양인들에게 일상이된 인종차별에 대해 열변을 토하는 산드라오님이 인상깊네요 미쿡에서 자란 동양인에게 layer가 있다니.....

136


Reply


5 replies
@paminedoo997
@paminedoo997
3 years ago
산드라오. 산드라오가 없었으면 킬링이브는 밴드로 비유하면 티는 안나지만 없으면 뭐가 허전하고 가볍게 느껴지는 베이스가 없는 연주였을뿐이죠. 킬링이브에 무게감과 깊이를 넣어준 배우

1


Reply


2 replies
@gamyak
@gamyak
3 years ago
캐나다 이민와서 늘 가지고 있던 감정인데 그걸 잘 끄집어 내줬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7


Reply

@user-vm3dv4zo4p
@user-vm3dv4zo4p
3 years ago
내용도 내용이지만 이걸 기획한 왓챠가 해냈어 !! 넷땡이 아니라!! 그게 더 좋아!! 뭔가 뿌듯해..너무좋아.. 이래서 토종이 흥해야한드아ㅏㅏㅏ

2


Reply

@fredlee4792
@fredlee4792
3 years ago
Sandra talks exactly what I felt when I was watching the Oscar... beautifully put when she said Bong was just free! We, all non-whites should feel just free whenever, where ever..

2


Reply

@OUTPUTERS
@OUTPUTERS
2 years ago
뜻밖의 영어 자극받고 갑니다.. 리스펙리스펙.. 한국말로도 저렇게 수준높은 대화를 못할거같지만 이런토픽도 영어로 내생각을 잘 표현할수있는 레벨이 된다면 너무 좋겠네요 ㅠ 😂

1


Reply

@mensa4553
@mensa4553
3 years ago
두 분 다 사유가 깊으시네요.

1


Reply

@ohthgee8795
@ohthgee8795
2 years ago
산드라오 최근에도 고생하던데....
미국최고의 쇼에서 십수년간 주연을 해냈던 그녀가 
아직도 인종차별의 베리어에서 고생하는걸 보면서
아직도 갈길이 멀다고 느꼈음
산드라오 사랑해요

4


Reply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2 years ago
이 인터뷰 넘 인상깊어서 생각날때마다 보러옴...

3


Reply

@frostmoon4398
@frostmoon4398
1 year ago
확신에 찬 신념, 그리고 자신감. 이것이 봉준호 감독으로부터, 그리고 산드로 오의 인터뷰를 통해 느낀 내 생각이다.



Reply

@sugarm5273
@sugarm5273
7 months ago
이 영상을 수십번 보았는데 , 오늘 문득 산드라님이 말한 봉감독님이 '자유롭다' 라는 말의 뜻이 마음에 다가오네요



Reply

@mnaoitb1
@mnaoitb1
2 years ago
Bong Joon Ho is a HUMAN treasure. he is korean but a precious gem for all humanity.

1


Reply

@sooniekchoi8398
@sooniekchoi8398
3 years ago (edited)
I love these ladies~~~ So true~~~ I felt the same way!!! Best wishes for Sharon, Sandra & Director Bong~~~



Reply

@user-yy6zx9uz7k
@user-yy6zx9uz7k
2 years ago
산드라 오님 정말 정말 충격받으셨나 보다 ㅋㅋㅋㅋㅋㅋ 표현력 갑 ^^b



Reply

@user-nd6tm6ux8v
@user-nd6tm6ux8v
3 years ago
산드라 오 너무 좋아요 이런 인터뷰라니 진짜 감사합니다 아 ......

52


Reply

@abcdefghi446
@abcdefghi446
1 month ago
일단 이견없이 영화자체가 너무 훌륭하고, 이미 1년간 세계 유수의 영화제를 섭렵하며 오스카를 향해 
진군하고는 시점에서 

로컬발언은 그야말로 외통수였음.



Reply

@sseulegi
@sseulegi
2 years ago
봉준호 입에서 오스카는 로컬이다라는 얘기가 나온 순간이 그렇게 사이다일 수 없었다.

2


Reply

@EricStinehart
@EricStinehart
2 years ago
This is great - something very important and central to the "minority experience" in America that I feel like is not talked about often/enough. It's kind of the "chip on the shoulder" minority complex; we all wish it didn't need to exist but it does and is valid and only has the majority to blame.



Reply

@helloworld6834
@helloworld6834
2 years ago
Yes... I totally get what she's talking about. I've been in the US for 8+ years and every day I'm reminded of my race, that I'm Asian, that I somehow kind of stand out especially during this pandemic. It's really another unnecessary burden that's infiltrated onto you by society. It's a feeling that people back home can never understand. Being the majority really gives you a certain power and confidence that people in the minority can never achieve.

2


Reply


4 replies
@user-qk8jv5vw3y
@user-qk8jv5vw3y
3 years ago
산드라오씨의 반응과 소감이 참 신선하게 느껴지네요.



Reply

@jhaha4921
@jhaha4921
3 years ago
근데 서구영화 감성 안맞아서 잘 안보는 내입장에선 오스카는 진짜 로컬 맞음 그래서 이걸로 놀랐다는 사람들이 난 더 놀라움 ㅋㅋ 기생충 나온다길래 오스카가 뭔지 첨알았고 후보영화들이고 감독들이고 하나도 몰라서 걍 나에겐 그들만의 리그처럼 느껴졌을뿐.. 아무리 큰시장이라고 해도 결국 전세계 모든사람이 아는게 아닌데 그들을 타문화권인 우리가 나서서 추켜올려주는 것도 모양새가 우스움ㅋㅋ

109


Reply


1 reply
@user-yj7wz6zv6c
@user-yj7wz6zv6c
3 years ago
와 많은 울림을 주는 인터뷰네요 보는 동안 두분의 멋진 대화에 내내 행복했어요~ 감사합니다~!



Reply

@Niteangel100
@Niteangel100
2 years ago (edited)
This is so true. I'm Asian-American, and I think about this a lot. You can also extend this to black Americans, comparing them to black Africans in Africa. There's a loss of identity and also brainwashing. Honestly, the internalized racism also why Asian American media makes me cringe sometimes but maybe it'll get there someday.



Reply

@Marie-xn9ih
@Marie-xn9ih
3 years ago
그걸 느낄수 있는 사람은 이미 그걸 볼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산드라 오라는 사람이 얼마나 깊이 있고 깨어있는지 알고 갑니다



Reply


1 reply
@lkh0120
@lkh0120
3 years ago
와 이 배우도 머리가 굉장히 깨어있는 사람이네...
모든 미국배우가 다 저렇진 않겠지

6


Reply

@howto2175
@howto2175
3 years ago (edited)
그렇구나.. 인종 차별 당한 적이 없는 사람.. 그렇게 생각 해 보지 않았는데, 항상 그런 상태에 처해있던 사람에게는 놀라운 모습이었겠구나...

43


Reply

@user-nc2my6qq3b
@user-nc2my6qq3b
3 years ago
어제 킬링이브3다보고 기생충까지 다시보고온 입장에서 참 반갑고 기쁜조합입니다.

5


Reply

@user-vo7hw4ns2w
@user-vo7hw4ns2w
3 years ago
진짜 공감된다 어릴때 미국에서 살았었는데 내 이름부터, 생김새, 서툰 발음까지 다 판단의 대상이었다... 심지어 아시안이 많은 학교였는데도 소수의 미국인들이 어깨 펴고 인기 많은 곳.

1


Reply

@yjy1877
@yjy1877
3 years ago
아, 봉준호감독이 참 자신감있어보인다고 느낀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었구나!



Reply

@risha0000
@risha0000
3 years ago
한국도 인종차별이 심한국가이긴한데 그점을 떠나서, 봉감독님은 소수인종인 적이 없는 상태에서 언급한 인종차별적 막 속에서 살아가던 미국현지인들에게 로컬이란 단어가 충격적이었다는점이 새롭네요



Reply

@diora5568
@diora5568
2 years ago (edited)
와 어아래 댓글들 어떻게 이 인터뷰를 보고도 봉준호의 통쾌한 일침에 대한 산드라 오의 감탄.... 이 정도로 이해할 있지? 인터뷰 내용 제대로 들은 거 맞나...???



Reply

@smileyeiligh2975
@smileyeiligh2975
2 years ago
Sandra is so wonderful🥺



Reply

@michaelnicholson5890
@michaelnicholson5890
2 years ago
샤론 최가 대단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낀 한마디 
"He has not been raised in a racist society" 
"Yeah"

3


Reply

@ch.j7056
@ch.j7056
3 years ago
Sandra Oh씨는 캐내디언 코리안 배우신 데, 미국 Hollywood의 Gray's Anatomy TV Show에서 Main character로 연기력과 카리스마를 보여주면서 Hollywood에서의 동양 여배우의 위치를 한껏 올려주셨는 데, 그 Industry에서 그 정도 Power행사하실 때까지 인종 차별 파워에 대해 많이 느끼셨을 거 같아요.



Reply

@alligator_detective
@alligator_detective
3 years ago
It wasn't a shade. He just meant it. And no one could deny it.

74


Reply

@whatever2774
@whatever2774
2 years ago
뭐랄까 산다라오가 말하는게 어떤건지 알 것 같아서 더 약간 씁쓸하면서도 저런 말을 할 수 있는 계기가 오기까지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렸구나 라는걸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기도 한다.

1


Reply

@ima6781
@ima6781
3 years ago (edited)
봉감독님이 오스카는 로컬이다라는 말이 미국에 거주해 살아왔던 사람들에게 이렇게 큰 의미를 줄지는 몰랐네요. 외국 경험이 있긴하지만 한국인으로 인종차별의 경험이 딱히 없이 주인의식을 갖고 살아온 저로서는 그래, 오스카는 로컬이지... 그러고 말았는데. ㅎㅎ



Reply

@user-kn2di3wu6l
@user-kn2di3wu6l
3 years ago
킬링이브 시즌3를 보면서 산드라 오를 보이지않게 차별한다는 느낌 지울수가없어요.....
주인공인데도 보이지않는 차별.....
서양인들이 대놓고 차별은 안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은연중에 차별한다는 느낌 저만 느끼는건지?
중간회차에 산드라오는 아예 나오지도 않는거 보고 놀랐습니다.

152


Reply


9 replies
@mjj0829
@mjj0829
3 years ago (edited)
맞다 맞다. 로컬이라고 한 시점에서.. 미국에서 자란 아시안은 오스카를 로컬이라고 말하는 프레임을 아예 가지질 못한다. 미국이라는 큰 나라, 내가 자라오며 위대하다고 배우고 본 나라, 하지만 동양인으로나는 주류가 아닌 나라 내가 감히 깔 볼 수 없는, 내가 변방인 내 나라. 하지만 한국인인 봉준호에게는 미국은 그냥 아무때나 까고 싶으면 까고 상도 주면 좋지만 안준다고 세상무너지는거 아니고 인종차별이 뭔지 알지만 당해보진 않았고 당했다고 하더라도 어릴 때부터 각인된게 아니어서 그게 민감하게 느껴지지도 그게 한으로 다가오지도 않고 그냥 한국인 그 자체인거지. 특히 요즘 잘나가는 한국, 거기서 젤 잘나가는 영화감독 인거지.

2.6K


Reply


60 replies
@masterfila4010
@masterfila4010
1 year ago
산드라 오 배우님의 출연작 "킬링이브"를 시청하며 영어 공부중입니다. 너무 재밌습니다!@@@응원할게요

1


Reply

@user-kl5bw1dy3v
@user-kl5bw1dy3v
2 years ago (edited)
수상할 때 산드라오 분이 아주 기뻐하시던 모습 보는 사람까지 더 기뻤습니다😊

1


Reply

@isabel8489
@isabel8489
8 months ago
영국에서 점원, 길에서 마주치던 행인, 몇몇 지인에게서 이유없는 적대심, 불친절을 겪으며 살다가 (동전 던지기, 칭챙총 등등)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순간 맘이 탁 풀리면서 숨통이 트여지는 느낌 단순히 언어, 문화적인 벽으로 설명할 수 없는데.. 저거였음



Reply

@lisahan4465
@lisahan4465
3 years ago
너무 멋진 인터뷰에요. 그런데 산드라 오가 봉감독이 전혀 마이너리티로 살아오지 않은 사람의 당당함과 자유로운 시선을 느끼고 놀랐다는 걸 보고 와 봉감독은 역시 그런 일을 겪지 않아서 그래~ 라고 생각하는 건 너무 일차원적이라고 봅니다. 산드라 오의 의중도 그건 아닐 거구요. 그녀의 발견은 차별을 안 받고 당당하고 주인공으로 수십년을 보내왔을 때 가지게 되는 태도가 있는데 이민자로 백인 중심 사회에서 살아온 마이너리티들은 그걸 잃어버리는 구나라는 지점이 더 주된 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사실 봉감독이 그런 사람인 건 봉감독이라서 그런 거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인들이 백인에 대해 가지는 열등감은 오히려 상당히 팽배한 편이거든요. 한국 사회는 오히려 서구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은 사회이기 때문에 특히 남자들이 그런 열등감을 내비치는 걸 많이 보죠. 저도 미국에서 유학생으로 오래 살았었는데 한국에서 전혀 소수자로 살아보지 못한 한국 남성들이 더 심리적 충격을 받고 적응하기 힘든게 미국 생활입니다. 저는 봉감독의 멋짐은 오히려 자신의 직업 세계에서 어릴 때 부터 서양 중심의 영화들을 접하며 지내면서도 모든 상황을 메타적으로 볼 수 있을 만큼 깊은 내공을 쌓았고, 그들에게 열등감을 가지거나 거꾸로 필요이상의 국뽕스런 자존심을 내세우는 게 아니라 그냥 객관적인 관점에서 자유로운 시선을 가질 수 있었던 내면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산드라 오의 얘기는 우리가 그런 시선을 갖추는 게 필요하고 그렇지 못한 자신의 모습이 있다면 극복하는 것이 좋다라는 의미로 들렸습니다.
오랫동안 미국 생활하면서 저도 참 인종차별 힘들었는데, 요즘은 한국에서 제가 속한 직장에 외국인들이 그들이 미국에서 온 백인이라고 하더라도 소수자의 힘듬을 겪으면서 조직생활을 하는 걸 보게 됩니다. 단순히 어떤 인종이 어떤 인종을 차별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어떤 사회든 차별과 무배려, 배재하는 조직 문화가 얼마나 쉽게 생겨나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저도 그들의 힘든 모습을 보면서도 내 일이 바쁘고 내 코가 석자라 굳이 위해서 뭘 하는게 쉽지 않네요. 어떤 조직이든 어떤 나라든 그래서 다양성과 포함시키기의 노력이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덜 상처받고 즐겁게 살기를 원하니까요.

4


Reply


1 reply
@Ryu-zs2sy
@Ryu-zs2sy
3 years ago
산드라 오 배우님의 일상이었을 삶이 가슴아파. 배우님께는 실례일수도 있지만.말씀내내 가슴에 뭉친마음들을 어떻게 해서든 풀어내려고 하는 모습이 슬프지 않지만 슬퍼. 어디든 사람은 그냥 사람이었음 좋겠다. 그냥 다 호모사피엔스야

1


Reply

@jini5280
@jini5280
3 years ago (edited)
산드라는 봉감독의 그 인터뷰를 보고 굉장히 복합적이고 복잡한 감정이 들었을 듯. 같은 인종이면서 다른 성, 그리고 다른 사회에서 자란 이 차이점 등이 자신을 둘러 싸고 있어 스스로 모르는 사이 (인터뷰에서 표현된)레이어로 입혀져 있던 것을 깨닫게 하는 동시에 절대 넘어 설 수 없는 어떤 한계도 동시에 느끼지 않았을까. 
인종차별이 없는 사회(물론 없는 것은 아니지만)에서 나고 자란 동양인 남성이라는 위치는 인종차별이 존재하고 느껴지는 사회에서 자란 동양인 여성과 너무나 멀리 동떨어진 삶의 궤적과 마인드,인식,태도를 가지게 했을것. 
봉감독이 한국에서 나고 자란 여성이였다면 봉감독에게서 산드라가 느꼈다는 자유로움은 지금의 봉감독만큼 느껴지지 않았을것이라고 생각함. 인종차별을 겪지 않아서 오는 자유로움도 있지만 남성이기에 가질 수 있는 자유로움 또한 존재하기에..(샤론이 언급한 부분인데 '소수인종'으로 번역되었지만 정확히는 '소수자'가 맞다고 생각함. 즉 인종만이 아닌 성에서도 소수자가 아니었다는 부분을 샤론이 언급한 것.)
그나저나 봉감독 영화에 산드라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음. '그레이아나토미' 닥터"얭"부터 너무나 팬인데 봉감독이 아니더라도 한국영화에 출연하는 작품을 꼭 보고 싶음.

89


Reply


2 replies
@harimmjang8656
@harimmjang8656
10 months ago
물론 헐리웃 밑바닥부터 탑 배우로 성장해온 산드라 오의 과정과 봉준호 감독과는 또다를 수도. 
다만, 차별 받는걸 ‘너무 의식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함. 
봉준호 감독의 당당함이 단순하게 ‘한번도 차별당해 본 적이 없어서 (소수의 사람쪽이 아니어서)’ 라기보단, ‘차별 자체를 별로 신경쓰지 않아서’ 였다고 느낌. 자신을 믿고, 함께 하는 사람들을 믿고 열정을 쏟은 결과물.

1


Reply

@user-uk2py7zp3j
@user-uk2py7zp3j
2 years ago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감독상 스피치를 보면서 자존감이라는 단어가 실제 하는구나 라고 본능적으로 이해할수 있었다.



Reply

@yellgen
@yellgen
3 years ago
좋은 말씀이네요. 봉감독님의 태도가 산드라오배우님 말고 미국 사회전체에 던진 화두가 클 것 같네요. 소수인종인 적 없었으니 당연하겠지만 주눅들어하지 않고, 딱히 더 고마워하기보다는 오스카의 개선적 결정을 지지할 뿐이고 ... 한편 큰 성공에도 꽤나 겸손하고... 흔히 볼 수 있는 캐릭터가 아닐수도...



Reply

@QQQ-eo2gp
@QQQ-eo2gp
3 years ago (edited)
여러분, 미국이 이렇답니다. 백인들이 이렇답니다. 그 베일을 조금이나마 벗겨준 봉준호 감독님과 산드라오 배우님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저도 미국에서 사는 사람으로써 조금이나마 힘이 나네요.

31


Reply

@gloriao2277
@gloriao2277
3 years ago
=====

https://www.youtube.com/watch?v=ZBSiIAfeUAs